1997년, 홍콩은 영국에서 중국으로 반환되었습니다.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라는 약속 아래,
홍콩은 50년간 자치권과 자유를 보장받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그 약속은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희미해졌고,
그 조짐이 표면 위로 드러난 사건이 2014년 우산 시위였습니다.
그리고 진짜 전환점은 2019년 반송법 시위와
2020년 국가보안법 통과였습니다.
그때부터 홍콩은 ‘자유로운 도시’에서 ‘감시받는 사회’로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2019년, 시민 수백만 명이 거리에 나섰습니다.
중국 본토로 범죄인을 송환할 수 있게 하는 ‘범죄인 인도 법안’—일명 반송법.
이 법이 통과되면, 누구든 중국 공안에 의해 끌려갈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시위를 무력으로 진압했고,
그 여파로 2020년 홍콩 국가보안법이 제정됩니다.
‘국가 전복’, ‘분열 선동’, ‘외세 결탁’—애매한 기준으로
시민, 언론인, 정치인 누구든 처벌할 수 있게 되었고,
민주주의는 더 이상 숨 쉴 공간을 잃었습니다.
국가보안법 시행 이후,
홍콩은 눈에 보이지 않는 통제와 검열의 도시가 되었습니다.
자유는 사라지고, 공포가 그 자리를 채웠습니다.
시민들은 말하지 않고, 쓰지 않고, 모이지 않게 되었습니다.
홍콩은 원래 ‘아시아의 금융허브’였습니다.
하지만 정치적 불안정, 표현의 자유 상실, 법치의 훼손으로 인해
외국 자본과 기업들이 조용히 떠나기 시작했습니다.
2020년, GDP는 -6.54%를 기록했고
이후 회복되었지만, 예전의 활력은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많은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홍콩은 국제도시에서 중국의 지방 도시로 전락하고 있다.”
홍콩은 한때 종교의 자유가 있는 도시였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다릅니다.
학교에서도 국기 게양, 애국 교육이 의무화되며
종교 교육조차 ‘국가 기준’에 맞춰야 하는 현실이 되었습니다.
많은 이들은 말합니다.
우리는 이미 그 길을 걷고 있다.
홍콩은 하루아침에 바뀌지 않았습니다.
아무 일도 아닌 것처럼 보이는 일들이 쌓이고 쌓여,
어느 날 보니 ‘자유’가 없어진 것입니다.
그리고 지금의 대한민국도,
정확히 그 순서와 방식으로 변해가고 있습니다.
한국의 선택: 트럼프 관세폭탄 속 "우리는 중국처럼 싸우지 않겠다 (2) | 2025.04.10 |
---|---|
트럼프의 ‘중국 125% 관세’ 선언: 무엇이 바뀌고, 앞으로 어떻게 될까? (1) | 2025.04.10 |
지금 세계는 미국 편에 줄 서고 있다 – 한국만 왜 이탈 중인가 (0) | 2025.04.08 |
왜 미국은 자꾸 관세 전쟁을 하려 할까? (0) | 2025.04.07 |
윤석열 이후, 벌어지는 권력 싸움 (2) | 2025.04.06 |